'Favorite' 카테고리의 글 목록 :: iopeni - Think of C#

얼마전 VM을 이용하여 Linux에 Hadoop을 설치 하고 공부 하려고 했었는데.... 


암튼 불의의 사정으로 인하여 VM이 사라져 버리는 바람에... Hadoop은 포기해야 하나 생각 하던 중... 그냥 Windows에 Hadoop을 설치 하고 C#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고...


오늘은 그 궁금증을 해결 하는 날이다.


일단... Windows 10에 ANT를 설치 한다.. 


ANT다운로드 사이트는.... 


http://ant.apache.org/bindownload.cgi 


이곳이 되겠다.


이어 Java를 설치 한다...


자바의 다운로드 사이트는....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jsp-138363.html


이곳이 되겠다.


그리고 나서 하둡을 다운로드 받는다..


http://www.apache.org/dyn/closer.cgi/hadoop/common/hadoop-2.8.0/hadoop-2.8.0.tar.gz 


이곳이 되시겠다. 


이제 JDK를 설치 하고 Hadoop과 Ant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폴더에 압축을 해제 한다. 


하둡 압축 해제 도충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나게 되면 무시 한다.




임의의 ANT 설치 폴더와 하둡 설치 폴더를 환경 변수에 등록 한다.



이렇게 설치 된 폴더를 등록 하고 Path를 등록 한다.




이 까지 완료 하였다면 하둡의 설치 경로가 C:\hadoop-2.8.0 일 경우라고 가정 할때 

아래 폴더를 생성 한다.


C:\hadoop-2.8.0\data

C:\hadoop-2.8.0\data\data

C:\hadoop-2.8.0\data\name


C:\Hadoop\temp

C:\Hadoop\userlog


다음 하둡의 환경 설정파일을 수정 하여야 한다.


C:\hadoop-2.8.0\etc\hadoop 디렉토리의 4가지 xml 파일을 수정 하여야 한다.


-- Core-site.XML -----------------------------------------------------------------------

<?xml version="1.0" encoding="UTF-8"?>

<?xml-stylesheet type="text/xsl" href="configuration.xsl"?>

<!--

  Licensed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http://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See accompanying LICENSE file.

-->


<!-- Put site-specific property overrides in this file. -->


<configuration>

<property>

  <name>hadoop.tmp.dir</name>

  <value>C:\hadoop\temp</value>

</property>

<property>

<name>fs.default.name</name>

<value>hdfs://localhost:50071</value>

</property>

</configuration>


-- hdfs-site.XML -----------------------------------------------------------------------

<?xml version="1.0" encoding="UTF-8"?>

<?xml-stylesheet type="text/xsl" href="configuration.xsl"?>

<!--

  Licensed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http://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See accompanying LICENSE file.

-->


<!-- Put site-specific property overrides in this file. -->


<configuration>

<property>

<name>dfs.replication</name>

<value>1</value>

</property>

<!-- 데이터를 저장할 생성 디렉토리 설정. -->

<property>

<name>dfs.namenode.name.dir</name>

<value>/hadoop-2.8.0/data/name</value>

<final>true</final>

</property>

<property>

<name>dfs.datanode.data.dir</name>

<value>/hadoop-2.8.0/data/data</value>

<final>true</final> 

</property> 

</configuration>


-- mapred-site.XML -----------------------------------------------------------------------

<?xml version="1.0"?>

<?xml-stylesheet type="text/xsl" href="configuration.xsl"?>

<!--

  Licensed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http://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See accompanying LICENSE file.

-->


<!-- Put site-specific property overrides in this file. -->


<configuration>

  <property>

  <name>mapreduce.framework.name</name>

  <value>yarn</value>

  </property>

<property>

  <name>mapred.job.tracker</name>

  <value>localhost:9001</value>

  </property>

<property>

<name>mapreduce.application.classpath</name> 

<value>/hadoop-2.8.0/share/hadoop/mapreduce/*,

  /hadoop-2.8.0/share/hadoop/mapreduce/lib/*,

  /hadoop-2.8.0/share/hadoop/common/*,

    /hadoop-2.8.0/share/hadoop/common/lib/*,

    /hadoop-2.8.0/share/hadoop/yarn/*,

  /hadoop-2.8.0/share/hadoop/yarn/lib/*,

  /hadoop-2.8.0/share/hadoop/hdfs/*,

  /hadoop-2.8.0/share/hadoop/hdfs/lib/*,

 </value>

</property>

</configuration>



-- yarn-site.XML -----------------------------------------------------------------------

<?xml version="1.0"?>

<!--

  Licensed under the Apache License, Version 2.0 (the "License");

  you may not use this file except in compliance with the License.

  You may obtain a copy of the License at


    http://www.apache.org/licenses/LICENSE-2.0


  Unless required by applicable law or agreed to in writing, software

  distributed under the License is distributed on an "AS IS" BASIS,

  WITHOUT WARRANTIES OR CONDITIONS OF ANY KIND, either express or implied.

  See the License for the specific language governing permissions and

  limitations under the License. See accompanying LICENSE file.

-->

<configuration>


<!-- Site specific YARN configuration properties -->

<property>

 <name>yarn.nodemanager.aux-services</name>

 <value>mapreduce_shuffle</value>

 </property>

 <property>

 <name>yarn.nodemanager.aux-services.mapreduce.shuffle.class</name>

 <value>org.apache.hadoop.mapred.ShuffleHandler</value>

 </property>

<property>

 <name>yarn.nodemanager.log-dirs</name>

 <value>C:\hadoop\userlog</value>

 <final>true</final>

 </property>

 <property>

<name>yarn.nodemanager.local-dirs</name>

<value>C:\hadoop\temp\nm-localdir</value>

</property>

 <property>

 <name>yarn.nodemanager.delete.debug-delay-sec</name>

 <value>600</value>

 </property>

 <property><name>yarn.application.classpath</name>

 <value>/hadoop-2.8.0/,

       /hadoop-2.8.0/share/hadoop/common/*,

       /hadoop-2.8.0/share/hadoop/common/lib/*,

       /hadoop-2.8.0/share/hadoop/hdfs/*,

       /hadoop-2.8.0/share/hadoop/hdfs/lib/*,

       /hadoop-2.8.0/share/hadoop/mapreduce/*,

       /hadoop-2.8.0/share/hadoop/mapreduce/lib/*,

       /hadoop-2.8.0/share/hadoop/yarn/*,

       /hadoop-2.8.0/share/hadoop/yarn/lib/*

 </value>

 </property>


</configuration>



이후 재 부팅 하고 Hadoop의 버젼을 확인 해 보자. 


하둡 버젼 확인은 잘 된다. 


이제 하둡 namenode 포맷을 하면 된다.


hdfs namenode -format 


명령으로 포맷 한다.


이 후 hadoop의 sbin 디렉토리로 경로 이동하여 


start-all 명령을 실행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 한다.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은 위 에러 메시지에서 해결 방법을 안내 하고 있다. 


https://wiki.apache.org/hadoop/WindowsProblems


사이트의 내용을 읽어 보면...  

How to fix a missing WINUTILS.EXE

You can fix this problem in two ways

  1. Install a full native windows Hadoop version. The ASF does not currently (September 2015) release such a version; releases are available externally.
  2. Or: get the WINUTILS.EXE binary from a Hadoop redistribution. There is a repository of this for some Hadoop versions on github.

Then

  1. Set the environment variable %HADOOP_HOME% to point to the directory above the BIN dir containing WINUTILS.EXE.

  2. Or: run the Java process with the system property hadoop.home.dir set to the home directory.

이런 방법으로 해결 하라고 한다. 


난 그냥 winutils.exe를 찾아서 다운로드 받아 bin 디렉토리에 추가해 주었다. 


Hadoop-2.7.1_WinUtils.zip


다시 start-all 명령을 때리면 잘 동작 된다. 


그런데 PC를 다시 재부팅 하고나니 이거 참... 

또 에러가 뜬다. 에러의 종류가.. org.apache.hadoop.yarn.exceptions.YarnRuntimeException

요런 Error인데.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이후 start-all 명령 실행 하니 아주 잘 동작 한다.


이제.. Windows 10에 하둡 실행 완료


자 이제 C#으로 로컬 테스트만 성공 하면 되겠다.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몇일 전 .... 사람인에 올려 놓은 구직 이력서를 보고 모 업체 대표님이 전화를 하셨다...


"C# 몇 년이나 하셨어요? WinForm은 몇 년이나 하셨어요????? " 라고 질문을 하셨다... 내 기준에선 C#은 사실 발표 된 지 오래 되지 않았으므로... 몇 년이나 했는지 이력이 중요할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윈폼을 몇년이나 했느냐는 질문에는 좀....... 웃음이 나왔다... 사실 마이크로소프트 종속 프로그래머 로써 C++이든 VB든 Microsoft 개발자라면 윈도우 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이라면... 20년이 넘는 세월동안 유저 인터렉티브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개발자 였다면 윈폼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개발을 하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visual studio 6.0의 발표 시기는 1998년 이었던 것으로 기억 되고 . .Net(C#) 이 발표 되었을 시기가.... 아마도 2002년 정도 였던 것으로 기억 된다. (C#이 발표된건 14년 정도 된건가?) 이 후 WPF가 UI로서 발표된건 .Net Framework 3.0 - 발표 아마도 2007년 이었던 것으로 기억 된다.


윈폼은 아주 오래된 환경이고 Dos 시절 부터 인터럽트 프로그래밍을 했던 나에게 윈폼을 몇년이냐 했냐는 질문은 좀 헛 웃음이 나오게 만드는... 질문 이었다....


그래서 윈폼은 아주 오래 했습니다.. 라는 대답을 했더니..... 그 대표님 께선 이렇게 말씀하셨다...


"C#을 한게 이력서 상 7년도 안되 보이는데(C#이 발표된 건 14년 정도 뿐이 안 되었고...3.0 발표 이후 부터 언어로써 각광을 받기 시작한 C#을 7년이면 오래 한거 아닌가?)... 윈폼을 아주 오래 했다니 그 아주 오래한게 몇년 이신데요?" 라고 말이다.  Win API CreateWindow는 윈폼이 아니었나 보다.... 


이런 질문을 하는 대표님 께서는... FP니.... DI니... 이런 주제들은 들어 본적도 없을 것이고 단지 갑이 요구 하는 인력이 C#에 윈폼을 사용한 사람이니... 윈폼이 C#에 종속된 뭐 특별한 기술 인지 아셨던 대표님 이었다고 추측할 뿐이다.


얼마 전 대한민국 꽤나 큰 대기업인 기업에 면접을 보러 간 적이 있었다.


그 기업의 전산 팀장님 께서는 이런 질문을 하셨다...


"우리 회사가 사용하고 있는 전산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였다. 

이 질문을 듣고 있는데 이거 참.. 또 웃음이 나왔다.. 


물론 알고는 있었다... 대답도 했다... 그런데 경력 사원 뽑으면서 얼마나 준비를 안 했으면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 인 그 회사가 운영하고 있는 시스템을 설명하라니.... 


"두 번째 질문은 사용 할 줄 아는 미들웨어가 있는가?" 를 질문 하셨다.


그 기업에서는 3Tier를 구축하기 위해 TMax 제품을 미들웨어로서 사용하고 있었고 TMax제품을 사용할 줄 압니다... 라는 대답을 받고 싶었을 것이다.


이거 역시 좀 웃겼다.....


기술 면접이라고 뭔가 기술을 묻고 싶었다면 주제는 얼마든 있었을 것인데... 사람을 얼마나 무시 했으면 자기 회사 시스템을 설명 하라니....


회사 시스템은 면접관이 구직자에게 설명하고 더불어 회사가 앞으로 추구 하는 기술 환경에 경력직으로서 가져야 하는 기술을 물었어야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 된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예전 처럼 정말 천천히 칠판에 하나 하나 그림을 그려가면서 설명 하시고 질의 하셨던 진짜 엔지니어는 사라져 가는 구나 라는 참담함이 대한민국 IT시장의 암담함을 대변 하는 듯 하다..


정말 ... 참 암담한 시장이 아닐 수 없다... 좀비들만 난무 하는 시장.... 대한민국 IT시장..... 진짜 엔지니어는 필요 없는 IT시장... 대한민국 시장이다.... 

'Favorite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뷰 singbox T6  (1) 2014.06.22
YF Sonata 하이브리드 지르다...  (0) 2014.01.06
U+ Navi LTE만???  (0) 2013.11.18
ATIV Pro XQ700T1C-A54  (0) 2013.07.16
10Q / 10A  (0) 2010.10.25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요즘 다이어트 한답시고.. 헬스장에서 런닝 머신위를 열심히 걸어 다니고 있었다..


런닝.. 머신... 런닝 머신...... 머신 러닝..........


말 같지도 않은 저런 이유로 요즘 머신 러닝... 딥 러닝 이런 주제들에 갑작스런 호기심이 생겼고.


요즘 한참 화자 되고 있는 텐서플로우를 한번 설치해 보기로 마음 먹었다.


Bit Data DB 까지 엮어 보면 좋으련만.... 이걸 Hadoop으로 엮을지.... 아님 MongoDB로 엮어 볼지는 아직 결정 하지 않았다.


그나 저나... 뭐.. 일단은 OS부터가 문제인데... 엣날엔 .. 그래도 FreeBSD 만만 했다 나름 OS설치 부터 X 윈도우 컴파일... 포트 컴파일, 폰트 컴파일 등등 해 가면서. 서버 구성도 해봤고 .... 이렇게 하다 보니 man Page 보는게 DOS Help 쳐다 보는 것 보다 훨씬 편안하게 느껴질 때도 있었다. 다 옛날 이야기 였다.


제일 처음 욕심 낸건... FreeBSD였다.. 젠장... 이거 뭐 ..... 하나도 모르겠다. 


세상은 너무 발전 했는데 난 계속 퇴보에 퇴보를 거듭하고 있었던 거다.


그래.. FreeBSD는 포기 하고.... 그냥 쉬운걸로 하자... 마음편히..... 


데미안, 레드햇, 우분투, 뭘 할까 고민 하다가 아직 한번도 안써본 CentOS를 한번 써보자 마음먹고 고고~~~~~


알고 봤더니... 뭐 CentOS가 사실 RadHat이었다. 


OS설치는 했는데 이거 참... 단순 명령어들도 기억나는건 하나도 없고... ifconfig로 확인 해야 하는 IP를 ipconfig로 확인하려고 두들겨 놓고.. 이거 뭐지 뭐지???? 라고 헤매고 있는 나 자신이 왜 이렇게 한심 하던지... 아~~ 공부 하자 ~~~~


이렇게 저렇게 삽질에 삽질...... 기본 개발툴 설치 하고 어쩌구 저쩌구.... 


막상 텐서 플로우를 설치 하려고 Tensorflow.org 사이트에서 설치 메뉴얼을 확인 하고 있는데.


기존에 파이썬으로 작성된 프로젝트가 있으면 단순 pip설치를 하게 되면 프로젝트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명시 되어 있었다.


뭐 오늘 OS설치 했는데 기존 Python 프로젝트가 있을리는 만무 했지만.. pip가 먼지도 모르는데. 뭐 대략 MS의 NuGet 같은 것이려니... 짐작만 하고는 그 밑에 환경을 보니 virtualenv 라는 걸로 설치를 하면 괜찮단다.


그래 모르는거 한번 해보자~~~


그리고 그냥 설치 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따라하니 .. 그냥 설치 된다... 


이거 너무 쉽다. 


초보들이여... 두려워하지 말고 따라해 보자. 나같은 초보도 그냥 설치 했다... ^^;;;


자알 된다 아주 자알


참고로 텐서플로우의 GPU버젼은 MacOS에선 지원하지 않는다. Linux에서만 지원된다. 

더불어 AMD 계열의 그래픽 카드는 지원하지 않는다.


오리지 NVidia 그래픽 카드만 지원한다는 사실...... 하드웨어와 설치 OS를 확인하고 괜시레 삽질 하지 않길 바란다. 


https://www.tensorflow.org/versions/r0.11/get_started/os_setup.html#download-and-setup


요기에 설치 방법이 있다. 심심풀이 땅콩으로 가지고 놀아볼 ... 주제 하나 만들어 졌다.. ^^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마이크로소프트 종속적인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로서 NuGet을 처음 경험 하였을 때의 경이로움은 정말 이루 말 할 수 없었다.


오늘은 NuGet과 비슷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하는 툴을 처음 알게 되었다.


이건 뭐..... 정말 사랑해 주고 싶다.. 나의 귀차니즘이여.. 안녕~~~~


사이트는

https://chocolatey.org 이다.


메인 페이지에 있는 스크립트를 관리자 모드의 cmd에서 복사 붙여 넣은 후 설치 하면 완료.


등록된 패키지는 clist 로 검색 ....


설치는 cinst 로 한다. 


만약 파일질라를 설치 하고 싶으면 


"c:\>clist filezilla" 로 검색.

"c:\>cinst filezilla" 로 설치...


 편하돠~~~~~~

'Favorite >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10 ....에 하둡 설치 하기....  (0) 2017.04.13
Google Tensorflow ..... 설치 해보다.....  (0) 2016.10.24
Synology Nas : Docker-Gitlab upload 용량 제한 20M  (0) 2015.07.02
PowerMockup  (0) 2015.03.24
3M WP-8500 프리젠터  (0) 2013.08.09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Synology NAS를 구입 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사실 SVN이었습니다.


뭐 사실 구입 이후 문화 생활 부분에서 조금은 윤택 해짐을 느끼고 있습니다.


한동안 잘 쓰던 SVN을 접고 갑자기 Git을 쓰고 싶어서.. Synology NAS에 기본 포함된 Git을 쓰려고 하니.. 이거 참 난감한 겁니다.


난감한 이유가 시놀로지 나스에 기본 포함된 Git은 SSH프로토콜만 사용하고 있는 거였습니다. 결국 외부 확장 프로그램들 즉 Tortoise Git 같은 것들의 도움을 받아야 좀 수월해 질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전 외부 확장프로그램을 쓰고 싶다기 보다 Visual Studio 에서 Git을 이용할 수 있었으면 했습니다. 이력관리 도구가 너무 좋거든요. SVN 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훌륭합니다.


그런데 Visual Studio 의 Git Provider는 HTTP 프로토콜만 지원합니다.


별 오만가지 방법을 다 동원하고 테스트 하고 실험 하였습니다만.. 끝내는 그냥 포기 하고 말았습니다. 그냥.. PC Git을 설치 하는게 오히려 더 편하고.. 확장성이 더 좋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어느날... Synology NAS에 가상화 솔루션 Docker가 포함된 겁니다.


그리고 좀 있다가.... GitLab 이 Docker에 포함 되었는데. 이 GitLab이 나름 그래도 꽤 유명한 Git Server에 마일스톤 관리 및 이슈트래킹을 할 수 있는 도구 입니다. 혼자 가지고 놀기는 정말 딱이죠.


이게 웬 떡이냐~~~ 바로 함 해봐야 겠다 라고 생각할 즈음.. 정말 아끼는 동생으로 부터 또 다른 제보를 받았습니다.


소스트리에 좀 사이즈가 큰 파일을 첨부 하여 커밋 푸쉬 하려고 하니 원격서버에서 자꾸 뱉어 낸다는 겁니다.


그래서 인터넷 검색을 해 봤더니. 용량 제한이 있다고 인터넷에 기사가 올려져 있다는 겁니다.


인터넷에서 하라는 데로 다 해봤는데 안된다는 겁니다.


이거참... 그래서 저두 빨리 해 봐야 겠다고 생각 하며 오늘 오전 Reposirory를 만들고. 사이즈가 좀 큰 동영상 file 하나와 PDF문서 하나를 커밋 하고. 바로 Push~~~~~~~~

올라가는지 관찰 하려던 찰나.. 다음과 같은 오류가 터지며 뱉어 내 버리는 겁니다.

fatal: The remote end hung up unexpectedly
fatal: The remote end hung up unexpectedly
error: RPC failed; result=22, HTTP code = 413
Everything up-to-date

뭐 구글링 약간 하다 보니 몇가지 방법들이 보입니다. 문제는 이것이었던 거죠... 웹서버가 대용량 파일일 경우 뱉어 버리는 겁니다.


역시나 개발자의 천국 이라는 Stackoverflow에는 정확한 해결책이 제시 되고 있습니다.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7489813/github-push-error-rpc-failed-result-22-http-code-413

------------------------------------------------------------------------------------


If you get error 413, then the issue doesn't lie with git but with your web server. It's your web server that is blocking big upload files.

Solution for nginx

Just load your nginx.conf and add client_max_body_size 50m; ( changing the value to your needs ) in the http block.

Reload nginx to accept the new config by executing sudo service nginx reload and try again to push your commit over http.

Solution for Apache

In your httpd.conf add LimitRequestBody 52428800 ( changing the value to your needs ) inside a <Directory /> block. Doing this you can limit the request of the whole server filesystem, just a single Virtual Host or a directory.

I hope this helps.

--------------------------------------------------------------------------------------


그런데 이눔의 제 나스는 이 해결책 대로 열심히 했는데 안되는 겁니다. 


문득 드는 생각이 가상화 솔루션이므로 혹시 Docker에서 뭔가 걸르는게 아닌가 싶더군요. 


https://registry.hub.docker.com/u/sameersbn/gitlab/


이 문서를 쭉 보다 보면.. 해결책이 보입니다. 답은 말이죠 바로.. 이겁니다.


일단 SSH 터미널을 오픈 합니다. 그리고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하세요. 그 다음.. 아래 파일을 vi로 오픈 하세요


/usr/syno/etc/packages/Docker/synology_gitlab.config


그리고 다음과 같이 추가해 주세요.


{

"key" : "NGIX_MAX_UPLOAD_SIZE"

"value" : "1000m"

}


물론 위 Stackoverflow에 달린 답변 처럼. 


etc/nginx/nginx.conf


파일도 수정해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리부팅... 하면 됩니다.


오늘 이걸 해결 하느라구 하루 종일 걸렸네요. 어찌 되었든... 이제 정말 자알 사용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Favorite >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Tensorflow ..... 설치 해보다.....  (0) 2016.10.24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설치 하자. chocolatey  (0) 2016.01.23
PowerMockup  (0) 2015.03.24
3M WP-8500 프리젠터  (0) 2013.08.09
외장 하드디스크...  (0) 2010.04.07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PowerMockup

Favorite/Computing 2015. 3. 24. 15:24

개발자 로서... 가끔은 기획부서가 제안해야 할 화면을 먼저 제안하고 컨폼 받아야 할 경우가 있다.


상상의 나래를 펼쳐 가며 화면을 디자인 하고 컨폼을 받기 위하여, 디자인 한다는 것은 개발자로서는 정말 하기 싫은 일일 것이다. 먹고 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해야 하긴 하지만.... ^^ 뭐 아무튼 이런 잡이 생기면 보다 빨리 보다 잘 하고 싶은게 모든 사람이 가진 욕망 일지도 모르겠다.


예전 이런 디자인을 위한 보조 도구로 Balsamik Mockup이란 프로그램을 회사 기획팀에서 사용하는 것을 보고 이런 프로그램도 있구나 깜놀 했던 기억이 있다.


이후 무료로 제공되는 Mockup 프로그램이 없나 찾다가... 어느날 갑자기 PowerMockup이란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다.


이건 Power Point Plug-In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목업 프로그램이다. ㅎㅎ 저엉말 딱 찾던 거다...


일단... 


http://www.powermockup.com/ 


위 사이트에 접속 하여 보면.... 트라이얼을 설치 하여 볼 수 있다.







설치 정말 쉽다.


이렇게 설치 하고 보면..... 


파워포인트를 실행 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이거 참 쉽다.


나는 이걸 원했다.


그런데 말이다.. 이거 유료다...저기 보면 스텐실에 회색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트라이얼이라 막혀서 그렇다.


이거 결제 해야 하나? 하고 고민할 즈음...... $59.95 라는 만만치 않은 가격... 


블로거나.... 기자 또는 비영리 단체의 회원일 경우 이 프로그램을 공짜로 제공해 주겠다는 글을 보고야 말았다.


그래서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다.


블로거는 이 프로그램을 홍보 하여 주면 라이센스를 제공하여 주겠다는 문구......아. 말로 설명 하느니.... 해당 사이트로 직접 직행 하여 보시길....


http://www.powermockup.com/order/free-license


나에게 피가 되고 살이 될 수 있는 화면 설계 보조 도구를 득템 했다...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생일 아직 멀었습니다.


그런데.. 아시는 형님 한분이 다음달에 생일인 저에게 미리 주는 생일 선물이라며... 오늘 작은 블루투스 스피커인 T6를 선물 하고 가셨습니다.


결국 전 형에게... 커피 한잔.. 대접과.... 금 도금된 HDMI 케이블을 드리긴 했습니다. 아마도.. ㅜ,.ㅜ;;; 더 비쌀껍니다.. 


그러나 원래 블루투스 스피커를 하나 사려고 벼르던 중이었고... 이게 제 돈 주고 사기는 좀 아까운 아이템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서... 벼르고 벼르기만 반복.. 살까 말까 고민에 고민을 반복 하길.... 몇개월....


뭐 어쩌든 선물이 들어 왔으니... 바로 페어링을 해 봤습니다.


오~~~ 이 녀석 쓸만 합니다.


작은 사이즈 임에 그만하면 그냥 저냥 참고 넘어가 줄 수 있는 우퍼... 작동 상태의 음성 안내 등....


오늘 받은 선물이라 완충시 플레이 가능 시간이나... 핸드폰 페어링 후 전화 통화 등등.... 테스트 해 봐야 할 것들이 아직은 많지만....


가격대비 음질은(전 공짜죠... 사실... ) 만족 스럽습니다. 비싼.. 금 도금된 HDMI 케이블이 순간 사라지긴 했지만..... ㅜ,.ㅜ;;


펜션이나... 어디론가 놀러 가서.. 음악이 듣고 싶을 때...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스피커 아이템 하나 장만 했네요... ^^


'Favorite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몇년이나 하셨어요? 윈폼은 몇년이나 하셨어요?  (2) 2017.01.18
YF Sonata 하이브리드 지르다...  (0) 2014.01.06
U+ Navi LTE만???  (0) 2013.11.18
ATIV Pro XQ700T1C-A54  (0) 2013.07.16
10Q / 10A  (0) 2010.10.25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2013년 12월 22일 새벽 1시경 교통 사고 후 ... 차가 없으면 출퇴근 조차 하지 못하는 입장이라..


어쩔 수 없이 질러버린 27일 출고된 나의 자동차.... 


소나 타는 자동차..... 아는 형님이 소나 타는 자동차니까.. 차 탈 때 내릴 때 음메~~ 한번씩 해줘야 안전해 진다는 조안 아닌 조언(?)을 해준 바로 그 차 입니다.




아직 10흘 정도 탄 차이지만.. 연비 하나는 정말 대단합니다.


연비 국도 19키로... 고속도로 21키로.. 시내 주행... 15키로는 평균 찍어 버리니 말입니다...


'Favorite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몇년이나 하셨어요? 윈폼은 몇년이나 하셨어요?  (2) 2017.01.18
노벨뷰 singbox T6  (1) 2014.06.22
U+ Navi LTE만???  (0) 2013.11.18
ATIV Pro XQ700T1C-A54  (0) 2013.07.16
10Q / 10A  (0) 2010.10.25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U+ Navi LTE만???

Favorite/Other... 2013. 11. 18. 09:01

뭐 어차피 쓰지도 않습니다.


자동차에는 TPEG 아주 잘 되는 아이나비가 설치 되어 있고... 돌아 다니며 길 찾을 땐 네이버 지도 또는 다음 지도를 가지고 아주 잘 찾아 다닙니다..


굳이 U+ 나비가 필요 없는 상황이죠..


요즘 저의 핸드폰이 진짜 너무 많이 밧데리 조루라서... 혹시 제가 알지 못하는 이것 저것의 서비스로 밧데리가 빨리 닳아 없어지나 싶어 어제 핸드폰 공장 초기화를 하고...


다시 앱을 설치 하던 중 ... 허걱.. U+ Navi가 없어지고 U+ Navi LTE만 남았더군요....


구글 앱스토어 뒤지고 LG 앱스토어 뒤지고 아무리 뒤져도 보이지 않는 Navi ..... 이건 뭔가 싶어 인터넷을 뒤져 보니 

LG에서 정책적으로 데이타 요금을 과금하는 LTE를 제외한 Navi의 지원을 끊었더군요


참.. 이거 너무 한듯 합니다.


저야 뭐 사실 따지고 보면 직업이 직업인지라... 인터넷을 달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비싼 LTE요금제를 사용하고 있기에 이것 저것 따지지 않고 혹여 사용할 일이 생긴다면 사용해도 무방 하지만...


비합리적인 통신 요금제로 인하여, 가계 수립하여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분들은 이제 앞으로 LG가 제공하는 네비는 사용하면 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겠군요.


이 LTE 네비가 맵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3D 맵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서비스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 제공하던 네비에 비해 데이타 전송량도 어마 어마 하게 클 꺼라는건 자명한 사실....


아이들도 호기심에 네비를 켜고 이것 저것 해 볼 수 있는 상황... 처음 부터 네비를 무료 서비스를 하지 않았다면 이런 찜찜한 기분도 들지 않았을 텐데....


KT와 비교해 보면 KT는 올레나비 다른 통신사에서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얼마 전까진 국내 유일의 LTE 전국망 이었던 LG... 이젠 사실 LG가 가지고 있는 메리트는 없어 보입니다. 요금제 측면에서도 서비스 측면 에서도 통화 품질 측면에서도 다른 통신사에 비해 좋은 점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다는건...


이제 다른 통신사로 넘어가야 할 때가 온듯 합니다.


굳이 LG를 고집할 이유가 전혀 없으므로..... 

'Favorite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뷰 singbox T6  (1) 2014.06.22
YF Sonata 하이브리드 지르다...  (0) 2014.01.06
ATIV Pro XQ700T1C-A54  (0) 2013.07.16
10Q / 10A  (0) 2010.10.25
PDP 구입하다....^^  (0) 2010.05.25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

프리젠터의 대명사 라는 WP-8500을 구매하여 사용하여 보니... 사실 이만한 프리젠터는 없어 보입니다.

많은 유저분들 께서 명품이라고 이야기 하시는데는 틀림없이 이유가 있나 봅니다.


예전 IBM노트북의 키보드에 빨간색 마우스 포인터 트랙 볼을 기억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이 프리젠터에 상단 부에 위치한 레버가 바로 그겁니다.


마우스 왼쪽 오른쪽 버튼 다 활용 하실 수 있으며, 앞으로 뒤로.. 버튼과 함께 레이저 포인터와.. 볼륨 컨트롤

그리고 실행 F5 Key 와 Blank 화면 호출 등등.. 측면의 스크롤 까지 


이거 하나만 있으면 좀 불편하긴 하겠으나 모든 작업을 다 할 수 있을 정도로 기능이 풍부 합니다.


리시버가 좀 크다는게 흠이긴 한데 리시버가 좀 크기 때문에 통신 거리도 좀 더 길지 않을까 하는 추측을 해 봅니다.


구매 후 후회 하지 않는 나의 귀여운 프리젠터 입니다.







Posted by 프로그래머란 카페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기계다
,